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많은 국민들이 놓치고 있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미환급금이 3,300억 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환급금의 조회 및 신청 방법, 대상자, 만료 기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환급금 조회 방법
온라인 조회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온라인입니다. 본인 인증을 거쳐 손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를 클릭하면 됩니다. 모바일에서도 간편 인증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 이용
‘The 건강보험’ 앱을 통해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앱을 다운로드한 후, ‘민원여기요’ 메뉴에서 환급금 조회/신청을 선택하면 됩니다.
환급금 대상자
환급금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하는 분들이 받을 수 있습니다.
- 초과 지급자: 병원 및 약국에서 법령 기준을 초과하여 병원비나 약제비를 지급한 경우.
- 본인 부담 초과자: 개인별로 연간 정해진 본인 부담액을 초과하여 의료비를 지출한 경우. 이는 각 개인마다 1년 동안 지출할 수 있는 의료비 한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구분 | 지역보험료(월) | 본인부담 상한액(년) | 요양병원 120일 초과입원(년) |
|---|---|---|---|
| 1 | 11,430 이하 | 87만원 | 134만원 |
| 2 | 11,430~14,650 | 108만원 | 168만원 |
| 3 | 14,650~18,530 | 162만원 | 227만원 |
| 4 | 18,530~31,620 | 303만원 | 375만원 |
| 5 | 31,620~53,470 | 414만원 | 538만원 |
| 6 | 53,470~84,350 | 497만원 | 646만원 |
| 7 | 84,350~118,490 | 780만원 | 1014만원 |
*보험료는 2022년 기준, 본인부담상한액은 2023년 기준입니다.
환급금 신청 방법
환급금을 신청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환급금 조회/신청’ 클릭.
- 간편 인증(카카오톡, 네이버, 토스 등의 인증 방법)을 통해 로그인.
-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에서 받을 수 있는 환급금 확인.
- 받을 환급금이 있다면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완료.
환급금 만료 기간
환급금은 발생일로부터 3년이 지나면 권리가 소멸됩니다. 환급금이 생기면 건강보험공단에서 우편으로 안내문을 발송하며, 이후 발생하는 환급금은 등록된 계좌로 자동 환급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환급금을 조회할 때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은 고령자의 비율입니다. 60대 이상의 고령자가 환급금 미지급 인원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모님이나 고령의 가족이 계시다면, 그들의 환급금도 함께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숨은 돈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은 무엇인가요?
본인 인증을 위한 스마트폰이나 공동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환급금 신청은 언제까지 할 수 있나요?
환급금 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환급금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본인 부담액이 연간 한도를 초과하지 않거나, 초과 지급이 없을 경우 환급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환급금을 자동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환급금을 받을 때 동의하면 이후 발생되는 환급금은 등록된 계좌로 자동 환급 가능합니다.
환급금 조회는 몇 번이나 할 수 있나요?
환급금 조회는 필요할 때마다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이전 글: 기아자동차 출고 기간 조회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