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사천시는 임신과 출산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새롭게 확대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지역 내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건강한 출산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 첫만남 이용권 확대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유축기 대여 지원
- 대여 기간 확대
- 문의 정보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확대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 지원 대상 및 내용
- 문의 정보
- 자주 묻는 질문
- 질문1: 첫만남 이용권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 질문2: 냉동난자 지원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질문3: 저소득층 기저귀 지원은 어떤 기준으로 이루어지나요?
- 질문4: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질문5: 미숙아 의료비 지원은 언제부터 신청할 수 있나요?
- 함께보면 좋은글!
첫만남 이용권 확대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 신고된 아기
- 변경된 지원 내용: 첫째아는 200만원 바우처를 유지하며, 둘째아 이상은 300만원으로 확대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609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난임 진단 없이 냉동한 난자를 사용하여 임신을 원하는 부부
- 지원 내용: 냉동난자 해동 및 보조생식술 비용을 회당 100만원, 부부당 최대 2회까지 지원합니다.
- 시행일: 2024년 4월 예정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527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사천시에 거주하는 산모
- 변경된 지원 내용: 쌍태아 돌봄 시간이 8시간으로 늘어나고, 삼태아 이상은 최대 3명까지 인력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원 기간도 15일, 25일, 40일로 확대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527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만 2세 미만 영아 중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
- 변경된 지원 내용: 기저귀 및 조제분유의 구매 지원 금액이 각각 1만원씩 상향 조정되어, 기저귀는 월 9만원, 조제분유는 월 11만원으로 변경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527
유축기 대여 지원
대여 기간 확대
- 대상: 사천시에 거주하는 출산 가정
- 변경된 대여 기간: 기본 2개월 대여 후 필요시 1개월 추가 연장이 가능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527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입원 치료받은 임산부
- 변경된 지원 내용: 소득 기준이 폐지되어, 1인당 최대 300만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609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확대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선천성 대사 이상아 또는 출생 24시간 내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실한 미숙아
- 변경된 지원 내용: 소득 기준이 폐지되고, 출생 체중에 따라 3백만원에서 1천만원까지 의료비 지원이 가능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609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지원 대상 및 내용
- 대상: 선천성 난청 진단을 받은 환아
- 변경된 지원 내용: 소득 기준이 폐지되어, 검사비 및 보청기 지원이 가능합니다.
문의 정보
- 전화: ☎055-831-3609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첫만남 이용권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출생 신고 후 보건소에 방문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질문2: 냉동난자 지원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냉동난자를 사용하는 부부가 지원 대상이며, 난임 진단서 없이도 신청 가능합니다.
질문3: 저소득층 기저귀 지원은 어떤 기준으로 이루어지나요?
기준중위소득 80% 이하의 다자녀 가구,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이 지원 대상입니다.
질문4: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입원 치료를 받은 고위험 임산부에게 의료비를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하며, 소득 기준은 없습니다.
질문5: 미숙아 의료비 지원은 언제부터 신청할 수 있나요?
출생 후 즉시 신청 가능하며, 지원 내용은 출생 체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