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익머트리얼즈(104830)는 고순도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원익머트리얼즈의 주요 품목, 업계 현황, 주주 구조, 그리고 최근 재무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제품 현황
고순도 특수가스
원익머트리얼즈는 반도체, LCD, LED, 태양전지 및 AMOLED 등에 사용되는 고순도 특수가스를 생산하여 글로벌 주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기업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 가스들은 반도체의 메모리 및 비메모리, 디스플레이의 OLED 및 LCD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품목별 현황
회사의 고순도 특수가스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품질과 안정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업계 및 시장 현황
반도체 시장
World Semiconductor Trade Statistics(WSTS)에 따르면, 2021년 반도체 시장 규모는 5,529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2022년에는 8.8% 성장한 6,014억 달러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반도체 장비 매출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시장
Korea Display Industry Association(KDIA)에 따르면, 2020년 OLED의 시장 점유율은 31%였으나, 2025년에는 44.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 수요 증가에 기인합니다.
특수가스 생산 증가
최근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필수적인 특수가스(N2O, NF3, WF6)의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리적 이점과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갖춘 국내 업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주 현황
최대주주 및 주식 소유
원익머트리얼즈의 최대주주는 회사의 전략적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식 소유 현황은 회사의 지배 구조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입니다.
최근 주가 및 거래 현황
2022년 11월 15일 기준으로 원익머트리얼즈의 주가는 31,300원이며, 거래량은 71,106주로, 시가총액은 3,946억 원입니다. 외국인 취득률은 17.97%로 나타났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은 5.07로 저평가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PBR(주가순자산비율)은 0.82입니다.
재무 성과 분석
손익계산서
최근 5년간 원익머트리얼즈의 매출액은 2017년 2,030억 원에서 2021년 3,107억 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29억 원에서 505억 원으로 상승하였고, 순이익도 178억 원에서 528억 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재무상태표
2021년 기준 자산은 4,629억 원, 부채는 707억 원, 자본은 3,923억 원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금 흐름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은 590억 원으로, 투자활동에서의 현금 유출(571억 원)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무 비율 분석
안정성
- 유동비율은 200%로 안정적인 유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부채비율은 18%로 낮아 재무 건전성이 확보되어 있습니다.
수익성
- 영업이익률은 16%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ROE(자기자본이익률)는 14%로 양호한 수준입니다.
성장성
- 매출액 증가율은 2021년 12%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활동성
- 재고자산 회전율은 9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재고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원익머트리얼즈의 주요 제품은 무엇인가요?
원익머트리얼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요한 고순도 특수가스를 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원익머트리얼즈의 주가는 어떻게 되나요?
2022년 11월 15일 기준으로 원익머트리얼즈의 주가는 31,300원이었습니다.
회사의 재무 상태는 어떤가요?
원익머트리얼즈는 안정적인 유동성과 낮은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이 높습니다.
반도체 시장 전망은 어떤가요?
2022년 반도체 시장 규모는 6,014억 달러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요 변화는 무엇인가요?
OLED의 시장 점유율이 2020년 31%에서 2025년에는 44.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