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시행되는 다양한 정책 변화가 국민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혼세액공제 신설, 병 봉급 인상,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도입될 예정입니다.
목차
결혼세액공제 신설
결혼세액공제 개요
2025년부터 혼인신고를 한 부부에게 최대 100만원의 세액공제가 제공됩니다. 이는 부부 각각 50만원씩의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적용 대상 및 기간
- 대상: 혼인신고를 한 거주자
- 적용연도: 혼인신고를 한 해에 한하여 적용 (생애 1회)
- 적용기간: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혼인신고 분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소득공제 항목
신용카드 소득공제의 적용이 확대되어 여러 항목이 포함됩니다. 특히 수영장과 체력단련장 시설 이용료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 항목 | 공제율 |
|---|---|
| 전통시장·대중교통 | 40% |
| 도서·공연·박물관·미술관·영화관람료 | 40% |
| 수영장·체력단련장 시설이용료 | 40% |
*적용 대상: 총급여 7,000만 원 이하인 경우
병 봉급 인상
병 봉급 변화
2025년부터 병장 기준의 봉급이 인상되어 월 150만원으로 조정됩니다. 이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변경됩니다.
| 구분 | 2024년 | 2025년 |
|---|---|---|
| 이병 | 64만 원 | 75만 원 |
| 일병 | 80만 원 | 90만 원 |
| 상병 | 100만 원 | 120만 원 |
| 병장 | 125만 원 | 150만 원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내용
2025년 1분기부터 17세 이상의 국민 누구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시범 발급: 2024년 12월 27일
- 전면 발급: 2025년 1분기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확대
지원 대상 및 비율
아이돌봄서비스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되어, 지원 대상 가구가 11만에서 12만으로 늘어나고 중위소득 200% 이하 가구까지 지원이 확대됩니다.
| 소득 기준(중위소득) | 정부지원 비율 | 1자녀 | 다자녀(0~5세) | 다자녀(6~12세) |
|---|---|---|---|---|
| 75% 이하 | 85% | 75% | 75% | 75% |
| 75~120% | 60% | 40% | 40% | 40% |
| 120~150% | 30% | 20% | 20% | 20% |
| 150~200% | 15% | 10% | 10% | 10% |
| 200% 초과 | – | – | – | – |
자주 묻는 질문
결혼세액공제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혼인신고를 할 때 관련 서류를 제출하시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어떻게 발급받나요?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으며, 17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병 봉급 인상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5년부터 인상된 봉급이 적용됩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은 누구에게 제공되나요?
중위소득 200% 이하의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됩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해당 항목에 대한 소비가 있을 경우,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신청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