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5일은 많은 근로자들이 기다려온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개통된 날입니다. 이 서비스는 2013년에 대한 연말정산 자료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대기 인원이 많아 서비스 사용 시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니, 여유를 가지고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란?
서비스 개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근로자가 연말정산 시 필요한 자료를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의료비, 보험료, 교육비 등 총 12가지의 소득공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자료 종류
2013년 귀속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자료들을 제공합니다:
– 의료비
– 보험료
– 교육비
– 주택자금
– 주택마련저축
– 퇴직연금
– 기부금
– 연금저축
– 개인연금저축
– 신용카드
– 소기업 및 소상공인 공제부금
– 목돈이 필요 없는 전세자금
연말정산 진행 방법
소득공제 서류 제출
근로자는 연말정산 시 필요한 소득공제 서류를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간소화 서비스 홈페이지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소화 서비스 홈페이지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 요건 확인
소득공제 요건이 충족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간소화 홈페이지의 “대화형 소득공제 자기검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본인의 소득공제 요건을 스스로 점검할 수 있습니다.
의료비 자료 확인 및 신고
의료비 자료 조회
올해는 의료비 자료가 조회되지 않거나 사실과 다를 경우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의료비 누락 및 허위사실 신고는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홈페이지의 납세자 코너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
의료비 누락 자료 신고는 국번 없이 126-7-3으로 전화하여 가능합니다. 의료비 자료 수정 기간은 1월 21일까지이며, 이때까지 의료비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자료가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날은 1월 22일입니다.
연말정산 체크리스트
- 소득공제 자료를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
- 의료비 누락 여부 점검
- 필요한 서류를 회사에 제출
- 자료 확인 후 누락된 부분이 없는지 최종 점검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근로자가 연말정산 시 필요한 소득공제 자료를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입니다.
질문2: 어떤 자료를 조회할 수 있나요?
의료비, 보험료, 교육비 등 총 12가지의 소득공제 관련 자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의료비 자료가 누락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의료비 자료가 누락되었거나 사실과 다른 경우, 신고센터를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 전화는 126-7-3으로 가능합니다.
질문4: 자료 확인은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의료비 자료 수정은 1월 21일까지 가능하며, 최종 자료는 1월 22일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소득공제 요건을 어떻게 확인하나요?
간소화 홈페이지의 대화형 소득공제 자기검증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스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TV 홈쇼핑 방송 상품 소개